PC 열람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독일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들이 반드시 납부해야 하는 방송수신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독일에서 거주하는 동안 이 비용은 누구에게나 적용되며, TV나 라디오 기기 유무와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이는 독일의 공영 방송이 모든 사람에게 고품질의 방송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원칙입니다.
제가 기숙사에 거주하면서 홈페이지에 직접 등록하고 청구서를 받았던 경험을 바탕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독일 방송수신료란?
금액: 월 18.36유로
납부 대상: 독일 거주 모든 가구 (1인 가구든 다인 가구든 동일)
사용 목적: 공영방송(ARD, ZDF, Deutschlandradio) 운영
납부 방식: 은행 자동이체(SEPA) 또는 청구서 수령 후 송금
면제 가능 대상: 학생(BAföG 수혜자), 장애인, 사회복지 수혜자 등
⚠️ 독일 주소(Anmeldung)를 등록하면 자동으로 청구서가 발송
여러 명이 함께 사는 경우, 1명이 대표로 납부 가능
납부하지 않을 경우 연체료 및 법적 조치가 따를 수 있음
📻독일 방송수신료(Rundfunkbeitrag)는 공영방송을 운영하기 위해 모든 가구에서 의무적으로 지불해야 하는 비용입니다. 라디오, TV 유무 관계 없이 거주지 등록을 한 사람이라면 '무조건' 납부해야 합니다. 이는 독일 공영방송(ARD, ZDF, Deutschlandradio)의 독립적인 운영을 보장하고, 광고 의존도를 줄여 공정하고 균형 잡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WG나 쉐어 기숙사의 경우, 거주자 중 한 명이 대표로 방송수신료를 납부하면 됩니다.
또한, 일부 주택에서는 집주인이 이미 수신료를 납부하고 있을 수도 있으므로, 먼저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독촉장을 받고도 계속해서 납부하지 않을 경우 연체료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독일 생활이나 출입국 시 불이익이 따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기한 내에 청구된 금액을 납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기숙사 1인실에 거주하는 관계로 방송수신료를 납부해야 하는 대상이었습니다.
다만, 안멜둥을 한 지 한 달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방송수신료 납부 안내 우편이 도착하지 않았습니다.
이를 두고 "Beitragsnummer가 적힌 우편을 받지 않으면 납부하지 않아도 된다"라는 이야기도 있었지만, 뒤늦게 우편을 받아 밀린 요금을 한꺼번에 납부해야 했던 사례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요금 폭탄을 피하기 위해 사전에 홈페이지에서 직접 등록을 진행하였고, 이후 Beitragsnummer이 적힌 우편을 정상적으로 받을 수 있었습니다.
방송수신료 가구 등록 방법 및 납부 청구서 확인
처음 등록을 하는 거라면‘Wohnung anmelden(거주지 등록)’ 선택!
이외에도 ZDF 홈페이지에서는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납부 방식 변경 (Zahlungsweise ändern)
📍 이름, 주소지, 결제방법 변경 (Namen, Adresse, Zahlungsweise ändern)
📍 면제 및 감면 신청 (Befreiung/Ermäßigung beantragen)
📍 2차 거주지에 대한 방송수신료 면제 (Nebenwohnung befreien)
📍 해지 신청 (Abmeldung)
📍 연락 양식 (Kontaktformular)
📍 모든 문의 양식 pdf (Alle Formulare)
Der Rundfunkbeitrag
Der öffentlich-rechtliche Rundfunk ist vielseitig. Seine Bedeutung und seine Unabhängigkeit hingegen ganz eindeutig: Wir brauchen ihn! Hier finden Sie alle Informationen und Antworten auf Ihre Fragen zum Rundfunkbeitrag: Was gehört zum A
www.rundfunkbeitrag.de
저는 처음에 따로 넘버를 받지 않아 'Nein'을 선택하고 넘어갔습니다.
만약 우편으로 번호를 받았다면 'Ja'를 선택 후 Beitragsnummer를 입력해 주세요.
아래에는 차례로 개인정보, 주소, 전화번호 등을 적으면 됩니다.
Personlich Daten에 적힌 본인 집 주소가 맞는지 확인 후 해당 가구로 등록을 하겠다는 ‘Obige Wohnung anmelden’을 선택해 주세요. 'Zumeldung einer weiteren Wohnung'은 위 주소 외에 거주지를 추가로 등록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입주 날짜는 안멜둥을 기준으로 입력하면 됩니다.
납부 기간에는 4가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3개월치 요금을 중간달 15일에 지불하기 (ex. 2-4월 요금은 3월 15일까지 납부)
✅1년에 총 4번 or 2번 or 1번 선지불 하기 (ex. 1-3월 요금을 1월 1일에 선지불)
지불 방법에는 2가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SEPA 계좌 연결로 자동이체
✅청구서에 기재된 금액 은행 송금
⚠️자동이체를 선택했을 시 독일을 떠나기 전에 반드시 해지(Abmeldung) 절차를 진행해야 불필요한 요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마지막으로 확인 후 Weiter로 넘어가면 신청이 완료됩니다.
이후 집으로 편지가 하나 더 오는데, 신청 확인 완료 편지입니다.
저는 자동이체로 설정해 두면 나중에 해지하기도 어렵고 계좌 유지도 계속해야 한다는 어려움도 있다고 들어 기간에 맞춰 은행 송금하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24년 9월~25년 1월까지 요금인 91.80유로를 12월 15일까지 납부해 달라는 우편을 받았는데요,
사실 슈페어콘토가 들어온 이후인 약 2주 연체 후 12월 27일에 늦게 납부했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따로 독촉 우편을 받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제 시기에 맞춰 송금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송금 후에는 별도의 완료 알림이 오지 않으므로, 정상적으로 납부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다음 납부 시기인 3월에 발송되는 청구서 우편에 이전 분기 동안의 91.80유로가 납부된 것으로 표기되었습니다.
혹시라도 정상적으로 표기되지 않았다면, 송금 내역(입금 영수증)과 함께 Rundfunkbeitrag 고객센터에 문의해 주세요.
TV나 라디오가 없어도 매달 지불해야 하는 방송수신료가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독일의 방송수신료는 단순한 이용 요금이 아니라, 공영방송의 독립성과 공공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재원입니다.
독일에 거주하는 동안 반드시 납부해야 하는 비용이므로, 반드시 정해진 기간에 납부하고,
이사를 가거나 독일을 떠날 때 해지 절차를 꼼꼼히 밟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독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 Vodafone eSIM 온라인 즉시 개통(안멜둥, 비자 X) & 요금제 혜택 및 앱 사용법 소개 (2) | 2025.03.15 |
---|---|
독일 유학생 은행 추천 Commerzbank StartKonto 개설 방법, EC 카드 발급 (2) | 2025.03.14 |
독일 유학생 은행 추천 WISE 계좌 개설 방법, 주소 인증, 카드 무료 발급 (1) | 2025.02.25 |
DB 독일 기차 포인트 | BahnBonus 앱 소개, 포인트 사용법 총정리 (0) | 2025.02.24 |
DB 독일 기차 저렴하게 예매하기 | BahnCard 구매, 사용법, 해지 방법 총정리 (0) | 2025.02.23 |